3. ‘아…오늘 저녁에 약속 있었는데…’ 내 퇴근시간 지켜줄만한 영상회사 찾는 법
벌써 세번째 주제 글입니다.
담당자님의 시간은 저희에게 금이기에, 결론부터 바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담당자님의 시간을 소중히 하는 업체의 특징은, ‘중간보고를 하는 곳’ 입니다
보통 외주업체 때문에 담당자님의 퇴근시간이 늦어지는 경우는, 외주업체가 ‘먹튀’ 를 하지 않는 이상,(종종 그런 일이 발생합니다.)
마감날에 보니 해당 작업물이 생각했던 것과 전혀 다르기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결과물을 받았는데, 생각과 전혀 다른 게 나왔을 때의 그 당혹감은 겪어보신 분만 압니다.
영상을 처음 맡겨 보시는 경우라면 내 생각과 메시지를 전달하면 영상회사가 알아서잘 만들어주겠지하고 마감날까지 한번도 소통 안하는 분도 계십니다.
그런데 협업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담당자님이 전달하는 내용과 영상회사가 받아들이는 내용이 과연 쉽게 일치할 수 있을까요?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영상회사가 마감날에 만들어온 작업물이 생각과 다른 게 크게 놀랄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서로간의 생각이 불일치해도, 영상회사가 초안이나 중간보고를 잘 하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지요?
중간 결과물을 마감보다 일찍 공유만 하더라도 같이 방향성을 다시 짚을 수 있으니까요.
문제는, 중간 소통 없이 마감날완성된 결과물을 내놓을 때 생깁니다.
그러면 수정하기도 매우 벅차고 수정 비용이 많이 듭니다.
담당자님 입장에선 미칠 노릇이죠. 마감 날은 되었는데 생각했던 결과물과 전혀 다른 게 나왔으니까요.
영상회사가 중간보고 하지 않는 이유는 소통을 어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소통하면 불필요한 수정사항이 더 나올거라 생각하고 업무량이 느는 것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콘텐츠랩코리아는 담당자님과 저희 사이에 그리는 그림이 일치하도록, 초반에 질문이나 중간 소통에 신경을 씁니다.
가능하면 빨리 초안을 만들어 공유하고 방향성을 확인받고 진행합니다.
영상제작에는 기획,디자인,제작,편집,성우등 다양한 작업이 포함되는데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필요한 파트별 확인이 이뤄집니다.
동시에 거의 마감 시간을 철저히 지켜왔기 때문에 담당자님들이 ‘콘텐츠랩코리아에 맡기면 마음이 편하다.’ ‘믿고 맡길 수 있다.’ ‘수정 보완, 그리고 소통이 좋았다.’ 고 후기를 남겨주신 것 같습니다.
콘텐츠랩코리아의 소통 능력, 그리고 마감을 엄수하는 태도에 대한 일화가 있는데요.
모 회사의 담당자님이 마감에 쫓기고 계셨습니다. 다른 곳에 영상을 맡겼다가 결과물이 생각과 너무 달라 저희를 찾아주신 케이스였는데요.
영상 제작에 주어진 시간이 단 일주일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보통 제작에 충분한 여유를 잡는 게 대부분이라, 다른 업체에서도 다 거절당하고 정말 난처한 상황이었습니다.
저희 스케줄은 매달 타이트한 편인데 마침 밀린 작업이 없었고, 그 담당자님을 도와드릴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정확히 일주일 안에 영상을 제작했고, 결과물도 성공적이었고 고맙다는 후기를 남겨주시기도 했습니다.
이번 내용 정리해보겠습니다.
담당자님의 소중한 퇴근시간을 지키기 위해서는, 딱 한가지만 기억하세요.
‘중간보고’ 를 하는 업체인가?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합니다.
다음에 보실 내용은 ‘내 마음 알아줄 영상회사 찾는 법’ 입니다.
Share:
More Posts

병원 홍보 영상 만들 때 주의할 점 3가지, 뭐가 있을까?
병원 홍보 영상, 아무렇게나 만들어도 될까요? 의료법 위반, 과장광고, 저작권 침해 등 법적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병원 홍보 영상 제작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과연 어떤

병원 홍보 영상, 실내 영상 어떤게 좋을까?
병원 홍보, 실내 영상 몇 개 만들면 끝나는 걸까요? 단순히 영상을 만들면 끝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영상 제작에는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병원 홍보 영상의 종류와 내용, 그리고

마케터가 알아야 할 영상 콘텐츠 종류 10가지
영상 콘텐츠 종류 궁금하셔서 들어오셨지요? 크게 3가지 종류 영상으로 구분하고 그 안에 세부적인 영상 종류 설명을 풀어서 총 10가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 글을 보시면 영상 종류에

교육영상제작업체 선정시 고려할 5가지 주의점
e러닝과 디지털 교육은 우리의 학습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온라인 교육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5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매년 평균 5%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 기관과